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라이프

미루기의 덫에서 벗어나는 전두엽 훈련: 작은 성취로 자존감을 회복하는 방법

by 해피지늬 2024. 12. 10.

들어가며

글 제목에 전두엽 얘기가 나와서 이게 무슨 얘기인가 싶을 거에요.

'뇌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라는 개념, 많이 접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그게 뭐, 나랑 어쨌다는 거지?'라는 생각도 드실 거구요.

오늘 글은 뇌과학을 이용해서 나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글입니다.

 

먼저, 아래 두 권의 책을 살펴보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이 책들은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거에요.

특히 뇌, 그 중에서도 전두엽이 어떻게 사람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요.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 나를 살리기도 망치기도 하는 머릿속 독재자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 데이비드 이글먼 저/김승욱 역

 

 

내면소통 /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내면소통 / 김주환

 

 

많은 사람들이 일을 미루는 사람은 게으르다! 라고 생각하기 쉽죠.

그런데 그걸 단순히 게을러서 그런게 아니라, 깊은 심리적 패턴으로 접근해 보는 거에요.

낮은 자존감과 성취감 결여, 그리고 지속적인 좌절감을 마치 늪처럼 우리를 붙잡아 악순환에 빠뜨리는 악순환의 패턴으로 보시는 거죠.

이렇게 악순환의 패턴이 있다는 건 선순환의 패턴도 있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나의 악순환의 패턴을, 선순환의 패턴으로 바꾸기만 하면 미루기 '습관'을 고치고, 나의 낮은 자존감을 높이고, 성취를 통해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그 뭔가 긍정적인 변화가 생길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까지 도달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그런데.. 이게 어디 한 순간에 이뤄진 악순환 패턴이겠어요? 그렇다면 거꾸로 선순환 패턴도 한 순간에 이뤄지는 건 이니겠지요?

어려울 거 같아요, 그쵸? 그래서 뇌과학을 이용하는 겁니다. 

지금 현재 내 전두엽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으니, 전두엽이 일을 할 수 있도록 전두엽 엉덩이를 조금 밀어 주는 거에요.

그렇게 전두엽을 밀어 줘서 전두엽이 기지개 켜고 일어나서 제 역할을 하기 시작하면 그제야 선순환의 패턴이 시작되는 겁니다.

이게 제가 위 책에서 얻어낸 힌트입니다.

 

그럼, 뭘 해서 전두엽의 엉덩이를 밀어 선순환의 패턴을 만들 수 있을까요?

뭘 해야 악순환에서 벗어나 긍정적 선순환의 패턴의 변화를 만들 수 있을까요?

아주 쉬운 것부터 당장 시작해 보는 겁니다.

아래 3가지를 추천 드립니다.

 

1. ✅ 감사일기 쓰기: 미루기를 넘어서는 의식적 선택

매일 10분 동안 감사일기를 쓰는 것을 단순한 글쓰기로 볼 게 아니에요. 매일 감사일기를 쓰는 것은 전략입니다.

매일 감사일기를 쓰면 전두엽을 활성화해서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깰 수 있다고 해요.

그동안 차마 인식하지도 못했던 나의 작은 성취들을 기록함으로써 비로서 나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다는 거죠.

이건 내 자존감을 회복하는 첫 시작이고, 이게 반복되면 나를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으로 바뀐다는 거에요.

2. ✅ 호흡 훈련 하기: 순간의 미루기 충동 극복

내가 지금 어떤 일을 미루려고 합니다.

"아, 그거 잠깐 유튜브 보고 해야지." 

바로 이때, 깊은 호흡과 함께 긍정적 순간들을 떠올리는 훈련을 지속하면 미루기의 심리적 뿌리를 흔든다고 해요. 

호흡에 집중하는 것 자체가 마음을 걱정거리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현재 순간에 집중하도록 도와준답니다. 그렇게 불안의 원인이나 생각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 거죠.

호흡을 통해 무언가 자신 안의 불안과 두려움 보세요. 그 불안과 두려움에서 비롯되는 미루기 행동을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현재에 집중하는 힘을 키웁니다.

3. ✅ 단점을 장점으로 재해석하기: 부정적 자기인식 전환

혹시 "난 일을 자주 미뤄"라고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이제 바꿔서 생각해 보세요.

"나는 완벽을 추구하는 세심한 사람이야"

이렇게 나를 바라보는 시각만 바꾸는 인지적 재구성부정적 자기 비판의 고리를 끊고, 긍정적 자기 인식을 만들어갑니다. 전두엽 훈련의 선순환 메커니즘 위에서 언급한 훈련은 정말 의식적이고 의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해요. 특히 시작하는 처음에는요.

지속적으로 실천하면 뇌의 신경회로가 재구조화됩니다. 이성을 관장하는 전두엽이 점차 더 쉽게, 더 자연스럽게 이성적이고 건설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거죠.

 

마치며

작은 습관, 큰 변화 미루기와 낮은 자존감의 악순환은 전두엽의 의식적 훈련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

10분 감사일기, 감사호흡, 긍정적인 재해석 등의 작은 습관들이 모여 결국 우리의 뇌와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것.

오늘부터 시작 해 보실래요? 매일의 작은 선택이 당신의 미래를 만들어간다고 확고하게 믿으면서요.🌟

 

 

오늘의 제 감사일기 입니다. - 부정적인 시각에서 긍정적, 이성적, 건설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로 작성해 볼게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언과 일부 국회의원들의 비헌법적 행위는 많은 이들에게 좌절감과 실망감을 줬다.😭

(그러나 전두엽의 이성적 사고는 이 상황을 다르게 바라보지!😊)

그러나 나는 그 실망과 좌절감이라는 감정에 압도되지 않으며, 대한민국의 진정한 희망을 보았다.

👍 비헌법적이고 국민에게 등을 돌린 대통령을 탄핵하고 규탄하기 위해 엄동설한임에도 불구하고 여의도 거리를 가득 메우며 비헌법적 행위를 규탄하고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국민들의 모습에서 우리 사회의 저력을 보았다.👍

🎁 현재 상황은 좌절이 아니라 희망이다.

 

어떠세요? 여러분도 지금부터 하고싶은 마음이 뿜뿜이죠! ⭐